김장철 고부갈등 전문가 마음 처방전 – 매년 11월이면 진료실을 찾는 며느리들의 고민 중 단연 으뜸은 ‘김장 스트레스’입니다.

“소화가 안 되고 불면증이 생겼어요”, “가슴이 답답하고 두통이 심해요”라는 증상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크게 늘어납니다.
며느리의 마음, MRI로 들여다보기
지난 상담 경험에 비추어볼 때, 며느리들의 스트레스는 크게 세 가지 증후로 나타납니다.
첫째, ‘완벽해야 한다’는 강박
- 시어머님의 눈높이를 맞추려는 과도한 긴장
- 실수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
- 가족의 건강을 책임진다는 부담감
둘째, ‘인정받고 싶은’ 깊은 갈망
- 노력한 만큼 알아주지 않는다는 서운함
- 본인만의 방식을 무시당하는 좌절감
- 가족 구성원으로서 존중받고 싶은 욕구
셋째, ‘소통 단절’로 인한 고립감
- 의견 개진이 어려운 수직적 관계
- 남편의 소극적인 중재 역할
- 해소되지 못한 감정의 축적
■ 전문의의 ‘마음 처방전’

급성 스트레스 관리법
- 호흡법: 4-7-8 호흡법 하루 3회 실시
- 감정일기 쓰기: 부정적 감정 배출하기
-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근육 이완
장기적 관리 방안
- 자존감 회복 훈련
- 의사소통 기술 향상
- 경계 설정의 기술 습득
관계 개선을 위한 실천법
- 작은 성공 경험 만들기
- 점진적 변화 시도하기
- 지지 체계 구축하기
김장철 고부갈등 전문가 제언
김장은 단순한 식재료 준비가 아닌 가족 문화의 전승 과정입니다.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은 오히려 관계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.
중요한 것은 며느리 자신의 심리적 건강을 잘 돌보는 것입니다.
완벽한 며느리가 되려 애쓰기보다, 때로는 ‘적당히 잘하는’ 며느리가 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건강한 가족관계를 만드는 비결입니다.
스트레스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경우,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.
[도움말]
- 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방문 권장
- 보건복지부 심리상담 핫라인 1577-0199
- 전국 정신건강 상담센터
- 주변 건강가정지원센터 이용
[다음 칼럼 예고: 명절 증후군, 이렇게 극복하세요]